국내 원전 생태계가 완전히 복구되면서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2년 연속 감소했다. 원자력발전이 증가하면서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탄소 배출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국가 경제 활성화와 탄소 감축을 위해 원전에 대한 지원을 더 늘려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6억 2420만 톤으로 전년 대비 4.4% 쪼그라들었다고 10일 밝혔다. 2년 연속 감소세다. 지난해 배출량은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 계획상 목표치(6억 3390만 톤)’보다도 적다.
부문별로 보면 전기와 열 생산에 해당하는 전환 부문의 배출량이 2억 4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650만 톤 줄면서 감소 폭(7.6%)이 가장 컸다. 이는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등 무탄소에너지 발전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신규 원전인 신한울 1호기를 포함해 원전 발전량이 1년 새 4.4테라와트시(TWh) 늘고 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도 3.5TWh 늘었다. 전환 부문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31%를 차지한다.
산업 부문도 배출량이 감소했다. 전체 배출량의 38%를 차지하는 산업 부문은 전년 대비 3%(730만 톤) 줄었다.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석유화학과 시멘트 등에서 경기 둔화로 생산이 줄어든 탓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종에서는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공정가스 저감 시설’이 확대되면서 배출량 감소에 한몫했다. 환경부는 “코로나19 이후 경기회복의 영향으로 2021년 배출량이 일시 증가했으나 2022년 이후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이 효과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상대적으로 따뜻했던 겨울 날씨와 가스요금 인상에 도시가스 사용량이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건물 부문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7%(330만 톤) 줄었기 때문이다. 수송 부문은 주행 거리 감소와 무공해차 보급 확대로 1%(90만 톤) 감소했다. 농축수산과 폐기물 분야에서도 각각 0.1%(10만 톤)와 1.3%(20만 톤) 소폭 줄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는 긍정적”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원전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감축세에 힘입어 경제 규모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계속해서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2023년 국내총생산(GDP) 10억 원당 배출량은 312.8톤으로 통계가 있는 1990년 이후 최저치다. 다만 2021년 배출량 확정치는 새로운 온실가스 배출원이 추가되면서 기존 6억 7660만 톤에서 7억 2140만 톤으로 늘어났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윤석열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원자력발전 및 원전 생태계 회복이 기여한 결과”라며 “산업 부문 저탄소 공정 도입과 전 부문 에너지 효율 개선 등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기후환경비서관실을 기존 사회수석실 산하에서 과학기술수석실 밑으로 옮겼다. 조직 개편을 통해 탈탄소 시대를 과학기술로 준비하려는 의도라고 대통령실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