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한국에서 발생한 규모 4 이상의 주요 지진 대부분이 영남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지난 6월 12일 전북 부안에서 발생한 규모 4.8의 지진은 지역민들에게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다. 양산단층 등 단층이 많아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고 알려진 영남 지역과 달리 호남 지역은 상대적으로 지진이 적었기 때문이다.
2013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지진 10번 가운데 5번은 경북 경주, 포항 등 영남지방에서 발생했다. 이는 영남권에 활성단층이 많기 때문이다. 정부는 2036년 완성을 목표로 전국 단층지도를 제작하고 있는데, 지진이 다수 발생한 영남권을 먼저 조사한 결과 최소 14개의 활성단층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2026년까지 수도권과 충청권 단층 조사를 마치고, 호남권과 강원권 조사는 각각 2026년과 2032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단층지도가 완성되면 실제 단층모델을 적용한 위험 평가도 더욱 정확히 진행할 수 있다. 지질학계에선 지진의 ‘예측’보단 ‘평가’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이는 수백 수천 년에 걸쳐 진행되는 지질적 변화와 사람이 경험하는 시간의 단위가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판내부는 판경계와 달리 지각변형의 속도가 느리고 단층활동의 주기가 길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지질학적으로는 “곧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해도 사람들에겐 100년 후가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지진이 잦은 일본의 경우 매년 수십억 원을 들여 전국에 산재한 활성단층 2000여 개를 조사하고, 각 단층의 지진 발생 확률을 제공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일본과 비교하면 지진 발생 빈도가 현저히 낮고, 이 때문에 국민적 관심도 적었던 게 사실이다. 최진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재해연구본부장은 “우리나라는 최근 중규모 지진들이 일어나 관심이 늘어났다”며 “단층모델을 통해 미래에 발생할 지진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해볼 수 있는 기반이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