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기흥사업장에서 지난 5월 정비 작업 중 발생한 방사선 피폭 사건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의 관리 부실 책임도 있다는 지적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삼성전자가 5년 전에도 방사선 안전관리자를 늘리겠다고 했는데 늘리지 않았다”며 “문제가 없다고 판정한 원안위에도 문제가 있다”고 했다.

이 의원은 2019년 원안위가 삼성전자 기흥사업장 정기 점검 당시 내놓은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질의했다.

자료에 따르면 당시 원안위는 기흥사업장 방사선 안전 관리 상태에 대해 △방사선안전관리위원회가 구성되고 운영되지 않음 △안전관리자는 원자력안전법령에 따른 규제제도 및 안전 관리에 대해 적절하게 이해하고 있지 않음 △안전관리 사항이 절차화·문서화돼 있지 않음 등의 평가를 했다.

당시 원안위는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은) 방사선안전관리자가 3인임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나 정기 검사 안내에 따른 개선 의지가 강하며 방사선 안전관리자를 추가 선임할 계획”이라며 “향후 안전관리가 체계적으로 수행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결론지었다.

이 의원은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의 안전관리자는 이듬해 2명으로 줄었고, 최근 사고까지 계속 2명이었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날 국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윤태양 삼성전자 부사장(CSO)은 “CSO로서 책임을 통감하며 피해자에 대한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또 “8월 말 (원안위가) 지적해 확인한 바 방사선안전관리자가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고, 현재 대비 2배 이상 충원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의원은 “(삼성전자는) 2019년에도 늘리겠다고 하고 안 늘린데다, 원안위는 5년 전에도 문제가 없다고 판정했다”며 “원안위와 삼성 모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유국희 원안위원장은 “피폭 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 굉장히 안타깝고 원안위가 할 수 있는 조치를 최대한 하겠다”고 답했다. 또 “앞으로도 방사선발생장치가 30기 이상인 기관을 중심으로 제도적인 보완을 한 후 보고를 드릴 것”이라고 했다.

한편 지난 5월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에서 반도체 웨이퍼 장치를 정비하던 작업자 2명이 전신과 손 등에 피폭 피해를 입었다. 웨이퍼 장치의 전원이 켜진 채로 방사선 차폐체를 열고 수리한 게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차폐체를 열 때 방사선을 차단하는 장치인 ‘인터락’이 작동해야 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조사에 나선 원안위는 “사업자인 기흥사업장의 방사선 안전에 대한 사업자의 관리·감독 절차와 이행이 부적절했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