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적인 플랫폼 기업 카카오가 인공지능(AI) 시장을 선도하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손잡고 AI 서비스 개발 및 고도화에 나선다. 오픈AI가 국내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것은 카카오가 처음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고의 AI 기술을 확보하면서 AI 시대에 상상할 수 있는 서비스를 모두 현실화할 수 있도록 최고의 파트너와 협력하고자 한다”며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함께했다.
양사는 지난해 9월부터 ‘AI 서비스 대중화’라는 공통 목표 아래 협력 방안을 논의해왔다. 한국 이용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카카오와 글로벌 AI 기술 경쟁력을 갖춘 오픈AI가 시너지를 창출해 국내 시장에서 AI 서비스 대중화를 앞당기겠다는 구상이다.
우선 카카오톡, 연내 출시 예정인 대화형 AI 서비스 ‘카나나’ 등 주요 카카오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AI 기술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스페이스)를 활용하기로 했다. API는 이미 만들어진 기능을 쉽게 가져다 쓸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도구다.
이번 협력으로 카카오는 막대한 비용이 들고, 이미 해외 거대 기술기업들이 앞서 나가고 있는 초거대 AI 모델보다는 서비스 개발에 집중한다는 방향을 분명히 했다. 자체 모델뿐만 아니라 외부 모델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이 한층 강화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정 대표는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넘어 양사가 함께 카카오 5000만 사용자를 위한 공동 제품 개발도 추진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논의 중인 단계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이든 맵(지도)이든 카카오 서비스에서 사용자 니즈(욕구)가 가장 맞는 접점으로 찾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협업은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오픈AI로선 국내에서 메시지, 커머스, 모빌리티, 엔터테인먼트, 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카카오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힐 수 있다.
올트먼 CEO는 “한국의 AI 채택률은 놀라운 수준이고 에너지·반도체·인터넷 기업 등을 보면 정말 강력하게 AI를 채택할 수 있는 국가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우리에게도 좋은 시장”이라며 “카카오와 파트너십을 맺게 돼 기쁘다”고 했다. 올트먼 CEO는 오픈AI 한국지사 설립과 관련해 “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발표할 것은 없지만 좋은 시장이라 생각한다”고만 밝혔다.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에 참여할 계획에 관해선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32/0003348992?ntype=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