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국내 AI(인공지능) 모델 중에서도 ‘딥시크’가 될 수 있는 모델이 10여개 정도 있다고 자신했다. 변화하는 글로벌 AI 개발 트렌드를 따라잡기 위해 더 빠르게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확보해야 한다고 보고, 연내 1만5000개의 GPU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GPU 구매 전략과 관련해서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만남을 계획한다고도 밝혔다.
“딥시크, 국내 스타트업에 용기”
유 장관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올해 핵심과제 추진 상황에 대한 대국민 보고 브리핑’에서 “국가AI위원회 출범 당시 2030년까지 우리가 3만장의 GPU를 도입하겠다고 했지만 GPT 4o, 딥시크가 나오면서 이 변화가 굉장히 빠르게 왔다”며 AI 지원 속도를 높이는 배경을 이 같이 설명했다.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는 지난달 20일 오픈소스 대규모언어모델(LLM) ‘딥시크 V3’를 기반으로 한 추론 특화 AI 모델 ‘딥시크-R1’로 글로벌 충격을 일으켰다. 불과 558만달러(약 78억원)에 불과한 개발비용, 저사양 AI 칩으로도 고성능의 AI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유 장관은 ‘딥시크 쇼크’와 관련해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꿨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우리 스타트업에 상당한 용기를 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모든 나라가 엄청난 양의 원자력 발전소와 데이터센터를 지을 수는 없고,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하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도 판단했다.
그는 “엔비디아, 오픈AI를 중심으로 한 판을 막기 위한 노력이 있었고 우리나라도 가만있지는 않았다”면서 “아직 정확도가 10% 이상 떨어지지만 우리나라도 딥시크가 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모델이 한 10개 가까이 된다”고 자신했다. GPU 연내 1.5만장 확보…손정의 만남 계획
유 장관은 AI 연구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GPU라며, 빠르게 변화하는 AI 발전속도에 맞추기 위해서는 GPU를 신속히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유 장관은 국가AI위원회를 통해 2030년까지 GPU를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는데, 예정보다 서둘러 GPU를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유 장관은 먼저 연내 GPU를 1만5000장 확보하고, 늦어도 2027년 초까지는 3만장을 모두 구입해야 한다고 봤다. 유 장관은 “GPT 4o가 나오고, 딥시크가 나오면서 생각보다 변화가 빨리 오고 있다”면서 “2030년 가서 3만장을 도입해봐야 의미가 없다”고 판단했다.
다만 GPU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혹시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를 만나겠느냐는 질문에 유 장관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한 번 만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만남을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 방한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최고경영자)와 접촉하려 했으나 스케줄 문제로 만날 수 없게 됐다고 덧붙였다.
AI 안전연구소 의장국 수장 제안
유 장관은 이날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 △핵심 전략기술 신속 확보 △디지털 안정성 및 민생 지원 △기술사업화 생태계 및 R&D 혁신 등 올해 핵심과제 추진상황을 발표했다. 이는 앞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달 각 장관에게 매달 핵심 과제들의 추진상황과 향후 계획을 브리핑하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지난달 22일 발표한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실행계획안’과 관련, 오는 7일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프랑스에서 오는 10일부터 열리는 ‘AI 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해 글로벌 AI 규범 논의를 주도하하고 국제 AI안전연구소 네트워크 의장국 수임을 제안하겠다는 계획이다.
유 장관은 “우리가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굉장히 큰 역할을 했고, 안전·혁신·포용이라는 화두를 던졌다”면서 “우리가 더 공격적으로 제안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본다. 단 현재 국제 AI 안전연구소 네트워크 초대 의장국을 맡고 있는 미국과 사전 교감은 없었다고 답변했다.
또한 이번달 말 ‘AI컴퓨팅 인프라 발전전략’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국가AI위원회 심의를 통해 마련되는 이 전략에는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구축하고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며, 데이터센터 규제를 개선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항만 내 데이터센터 입주를 허용하기 위한 ‘항만법’ 시행령·시행규칙을 개선하겠다는 목표다.
https://media.naver.com/journalist/015/7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