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국가산단으로 지정하고 세계 최대 반도체 특화단지 구축에 속도를 낸다. 범부처 협업체계로 당초 목표했던 시기보다 3개월 단축하는 성과를 냈다. 국가산단 지정과 병행해 오는 2030년 팹 1호기 첫 가동 시점에 맞춰 도로·용수·전력 인프라도 적기 공급하도록 차질없이 추진한다.

26일 국토교통부는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사업시행자인 LH와 입주기업인 삼성전자가 실시협약을 맺고 반도체 국가산단 특화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728만㎡ 부지에 대규모 팹(Fab) 6기와 3기의 발전소, 60개 이상의 소부장 협력기업 등이 입주하는 대형 국가 전략사업이다.

정부는 지난해 3월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를 선정한 이후 공공기관 예타면제 등 인허가 패스트트랙을 통해 산단 지정에 속도를 냈다. 특히 산단부지는 평택 상수원보호구역 등 입지규제로 당초 공장 설립이 불가능한 지역이었지만 관계기관 상생협약 등을 통해 입지규제 해제 절차를 모두 마무리했다.

용수와 전력 등 인프라 준비도 속도를 높인다. 용인국가산단과 일반산단은 기업 투자가 마무리되는 2053년까지 전체 10GW 이상의 전력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용인 국가산단은 우선 2030년 초기 수요 대응을 위해 동서·남부·서부발전이 각 1GW 규모의 LNG 발전소를 건설해 약 3GW의 전력을 공급하고, 2단계로 호남 지역에서 용인 클러스터로 연결되는 송전선로 1개를 건설, 장거리송전망을 통해 7GW를 확보한다.

호남과 동해안으로부터 대규모 전력을 수송하는 공용망 송전선로는 한전에서 비용을 부담한다. 공용망부터 클러스터까지의 송전선로 및 산단 내 변전소 건설에 대해서는 국가산단(1단계), 일반산단(1·2단계) 총 사업비 2조4000억원 중 공공이 약 7000억원(약 30%), 민간이 약 1조7000억원(약 70%)을 분담한다.

용수의 경우 용인 국가산단과 일반산단에서 하루 약 133만 톤의 공업용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로선 수도권 지역의 주 수원인 충주·소양강댐의 여유량이 부족하다.

이에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 기업은 기존 산단에 하수재이용수 대체 공급을 통해 물량을 확보하고, 발전용수 활용 등을 통해 대체수원을 확보해 부족한 수원 문제를 해결했다. 통합용수공급 사업은 지난 10월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았으며 내년 기본·실시설계 용역 등 후속절차를 이행해 2031년부터 적기 용수공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산단 근로자의 안정적인 주거지 마련 등을 지원하기 위해 1만6000호(228만㎡) 규모로 조성하고, 팹 1호기가 가동되는 2030년에 맞춰 첫 입주를 개시할 계획이다. 산단 조성으로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산단을 관통하는 국도45호선 이설·확장사업을 2030년 개통을 목표하고 산단 중심으로 격자형 고속도로망을 구축한다. 이번에 발표된 특화 조성계획 과제는 모두 법률 개정없이 추진이 가능하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번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기 지정은 그간 관계기관간 긴밀한 협력을 토대로 이뤄낸 값진 결실”이라면서 “앞으로도 반도체 클러스터 핵심 거점이자 ‘우리나라 랜드마크 산단’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www.etnews.com/20241222000070?mc=cp_001_00001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