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뜻깊은 578돌 한글날이다. 한글이 생기기 전에도 우리말은 있었지만 ‘그 말을 담을 수 있는 글자’가 없었던 탓에 오롯이 우리말을 담는 글자를 만들어 온 누리에 퍼지게 한 것이 1446년, 세종임금의 <훈민정음> 반포다. 그로부터 578돌을 맞이하는 때, 아주 뜻깊은 우리말 말집(사전) <푸른배달말집>(한실과 푸른누리)이 세상에 나왔다. 이 말집을 이야기 하기 전에 말해 둘 것이 있다.

글쓴이가 이 책을 지은 한실 님을 만난 것은 2014년 4월이니 만 10년이 지났다. 그때 한실 님은 빗방울이라는 덧이름(호)를 쓰며 우리말 살리기와 고장 삶꽃(지역 문화) 살림이로 삶을 바친 김수업 교수님을 만나게 되는 데 빗방울 님은 ‘우리말을 살리고 가꾸어 서로 뜻을 쉽고 바르게 주고받고 겨레말 속살을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풀이한 책을 짓자’는 데 뜻을 모으고 한실 님을 비롯하여 우리말글 살이에 뜻을 두어온 일곱 분과 함께 ‘배달말집’ 첫 삽을 떴다.

그 일곱 분은 스승인 빗방울 님을 비롯하여 골잘 최인호, 날개 안상수, 들꽃 주중식, 마주 박문희, 한꽃 이윤옥, 한실 최석진님으로 이들은 <배달말집>의 ‘세움이’ 들이다. 그 뒤 풀잎 황대길님이 함께하여 배달말집 틀을 만들었고, 이어 고종민, 구자행, 김강수님 등 ‘이끔이'(스물세 분), 이어 곽유정, 권복순, 권유경님 등 ‘이룸이'(쉰 세분) 등 첫 삽을 뜬 지 1년 만에 온 사람(100명)에 이르는 일꾼 곧 ‘겨레말살리는이들’이 모여들었다.

그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하고자 마음을 모았다. 1) 겨레말살리는이들은 ‘무얼 하려는가?’라는 물음에 ‘겨레말을 살리고 가꾸어 널리 사람 사이에 서로 뜻을 쉽고 바르게 주고받음으로써 겨레 삶이 거룩하게 드높아지도록 하고자 한다. 먼저 할 일 알맹이는 겨레말 속살을 누구나 알아볼 수 있도록 쉽게 풀이한 책을 만들어 펴내는 일이다.

2) ‘왜 이런 책을 펴내고자 하는가?’에 대한 물음에는 ⑴겨레말 풀이를 누구나 시원히 알아볼 수 있도록 제대로 해놓은 책이 없어서. ⑵많은 낱말 풀이가 비슷한 낱말로 돌려막기를 해놓아서. ⑶겨레말 노른자위인 토박이말을 제대로 찾아 싣지도 풀이하지도 않아서. 제대로 된 겨레말 풀이 책을 만들어 겨레 말살이를 아름답게 드높여서 겨레삶을 거룩하게 떨치도록 돕고 싶어 이런 책을 펴내고자 한다.

3)’누가’ 이런 책을 만들고자 하는가? 겨레말살리는이들 온 사람(100명)이 힘과 슬기를 모아 만들고자 한다.

이렇게 푸른 꿈을 꾸며 ‘배달말집’을 만들려고 달려가던 차에 스승님이신 빗방울님께서 병환으로 2018년 그만 세상을 뜨고 말았다. 선장을 잃은 뱃사람들은 어떻게든 말집 일을 이어가야겠다는 마음들은 갖고 있었지만, 선뜻 모임을 열지 못하고 있다가 불쑥 찾아온 코로나19로 모임조차 가질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묵묵히 낱말을 찾고 풀이를 이어간 분이 있었으니 겨레말살리는이들의 세움이인 한실님이다. 한실님은 모둠살이(지역공동체) ‘푸른누리’에서 빗방울 님의 뜻을 이어받아 여섯 해 동안 몸과 마음을 다 바쳐 마침내 <푸른배달말집>을 세상에 내놓았다.

<푸른배달말집>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국어사전(國語辭典)>이지만 국어사전과 크게 다른 점은 배달겨레가 오랫동안 써오던 배달말을 골라 올리고 낱말 풀이를 배달말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 보기를 들면, 미숙련공이라는 말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아직 일을 능숙하게 익히지 못한 직공’이라고 풀이하고 있지만 <푸른배달말집>에서는 배달말로 ‘벗장이’라는 말을 올려놓고 있다. ‘벗장이?’라고하면 고개를 갸우뚱할 사람이 있겠지만 말 풀이를 ‘일에 익숙하지 못한 바치, 또는 무엇을 배우다 그만둔 사람’이라고 풀어 놓고 있어 누구라도 알기 쉽다.

또 한 보기를 들면, 요즘 누구나 들고 다니는 휴대폰을 <푸른배달말집>에서는 ‘손말틀’로 올리고 풀이하기를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걸고 받는 작고 줄없는 말틀 ⇐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한편,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휴대폰(携帶phone): 휴대 전화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폰, 핸드폰’이라고 멋없이 풀이하고 있다.

<푸른배달말집>을 지은 한실님은 말한다. “오늘날 널리 쓰는 한글왜말은 조금도 우리말이 아니다. 우리말은 우리 겨레가 삶을 비롯할 때부터 지어내어 오랜 겨레 삶 내내 갈고 다듬어 온 배달겨레 말이다”라고 말이다. 곧 낱말부터 풀이까지 오로지 배달말로만 지은, 배달말을 갈무리한 겨레 새 말집(사전)이 <푸른배달말집>인 것이다.

책은 나날삶(일상)에서 마땅한 듯 쓰이는 한자말과 서양말에 가려져 잊힌 우리말을 찾아 놓아 말집 어느 쪽을 펼치더라도 구슬 같고 깨알 같은 아름다운 우리말을 만날 수 있다. <푸른배달말집> 속에 나오는 낱말은 모두 4만 5000개가 넘으며 1560쪽에 이른다. 그 어느 단체도 하기 힘든 일을 말없이 여섯 해 동안 해낸 지은이 한실님을 8일 낮 12시 반, 서울 인사동에서 만나 말집이 나오기까지 이야기를 들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