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자력발전소 상당수가 드론 대응 훈련에서 제대로 드론을 포착해내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드론에 대비한 원전 방호 우려가 커지는 만큼 국가 중요시설에 대한 방어체계 확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입수한 한국수력원자력의 ‘2023년 물리적방호 전체 훈련 결과 보고’에 따르면 한수원 산하 원전 본부 5곳 중 3곳은 지난해 드론 침투 대응 훈련에서 드론 탐지 장비인 RF스캐너로 드론을 탐지하는 데 실패했다.

현재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은 지난해 한수원 각 본부에 드론 탐지 및 퇴치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했다. 원전 테러 대응 훈련에 드론 대응도 추가했다. 이는 2022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전의 드론 위협에 따른 대응 필요성이 제기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승인 드론 4기 침투를 가정하고 이를 탐지하는 훈련에서 한빛원전만 RF스캐너로 4대를 탐지했을 뿐 한울과 새울원전은 1기를 놓쳤고, 고리는 모두 탐지에 실패했다. 월성은 훈련에 RF스캐너를 활용하지 않았다.

최 의원실은 드론 식별을 위한 데이터를 제대로 등록하지 않고, 드론과 탐지 장치 간 주파수 방해, 비 훈련용 드론 사용 등을 원인으로 지적했다. 실제 고리원전은 드론 데이터베이스(DB)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탐지가 안 됐고, 새울원전은 훈련에 농사용 드론을 쓴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문제점들이 지적됐지만 한수원은 현실적 한계를 들며 확보에 안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 의원실은 지적했다.

RF스캐너에 탐지되지 못한 드론은 모두 ‘육안 탐지’됐다고 보고됐지만, 크기가 작고 빠른 소형 드론은 그 특성상 경로를 미리 알지 못하면 실제 육안 탐지가 불가능하다고 최 의원실은 강조했다.

원안위 측은 예산과 안전성 문제 등이 있어 점차 개선책을 요구하고 준비해나가는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최 의원은 “최근 불법 드론을 비롯해 북한의 오물풍선 등 공중 물체 출현이 갈수록 잦아지면서 방공망 구멍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범정부 차원으로 원전과 같은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방어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