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가구가 오직 저축만으로 서울 아파트를 매매하기까지는 무려 86년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3일 민주노총 부설 민주노동연구원이 발표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대 가구가 서울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86.4년이라는 기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이한진 연구위원이 작성한 ‘부동산 폭등기 청년가구 재정변화 분석’ 보고서는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와 KB부동산의 통계를 바탕으로 이러한 계산 결과를 도출했다.
2023년 기준, 29세 이하의 20대 가구주의 연평균 소득은 약 4123만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소비 지출(2136만원)과 비소비지출(598만원)을 제외한 저축가능액은 1389만원에 불과했다.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11억9957만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 저축가능액만으로 서울 아파트를 구매하려면 86.4년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수치는 2014년의 39.5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특히 2021년에는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며 92.8년까지 치솟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2022년과 2023년에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청년 세대에게는 너무나도 먼 이야기이다.
이한진 연구위원은 또한, “2014년부터 지난 10년간 2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전체 연령대에 비해 절반도 미치지 못했으며, 저축 가능액의 증가율도 전체 대비 현저히 낮았다”고 지적했다. 이는 소득에서 저축 가능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20대 가구에서만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또한 최근 주택가격의 급등 속에서 청년세대와 다른 세대 간의 격차뿐만 아니라, 청년세대 내에서도 자산 불평등이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청년세대의 부채는 급증하는 반면 순자산은 소폭 증가에 그쳐, 순자산 격차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한진 연구위원은 주택가격의 급등이 자산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상황에서, 청년세대 내 자산 불평등의 확대를 소득 격차만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부의 대물림이 그 근저에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청년세대의 기회 평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상교육 확대,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서울 아파트 구입을 위한 저축 기간의 급격한 증가는 청년 세대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며, 이는 더 넓은 사회적, 경제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청년세대의 주거 안정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